지역전도를 위해 지역민의 필요를 정확히 분석하고 로컬교회의 이미지를 브랜드화하라
2013. 11. 28. 10:21ㆍ교육
지역전도를 위해 지역민의 필요를 정확히 분석하고 로컬교회의 이미지를 브랜드화하라
이미지목회, 교회이미지 브랜드화라고 하면 새속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미지목회는 지역전도와 교회성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에 복음이 들어왔을 때 기독교와 교회의 이미지는 외국선교사들로부터 전달받은 신식문화의 영향을 받아 ‘개화당’이란 이미지로 다가왔다. 신진문물을 접하기 위해서라도 교회에 나와야 했다. 이것은 일제시대를 겪으며 ‘애국당’으로 변신하기도 했으며 한국전쟁이후 교회이미지는 ‘구호보급소’란 이미지가 매우 강했다. 이후 70년대와 80년대 초까지 한국교회는 민주화를 향한 저항과 축복의 산실로 받아들여져 소위 지식인층의 결속을 다지는 중심축의 역할을 했다. 그러나 한국교회 전체의 이미지는 과연 무엇일까? 물론 개교회중심으로 교회의 이미지 브랜드화을 성공한 교회들도 있다. 새벽기도, 제자훈련, 성령운동, 목요찬양등으로 이름으로 교회만의 이미지를 가지고 목회하는 교회들이 있지만 한국교회 전체의 이미지는 부정적인 면이 많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회이미지 브랜드 구축을 하기 전에 지역분석을 통해 목회환경을 분석하라 (0) | 2013.11.28 |
---|---|
교회성장과 전도는 교회 이미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0) | 2013.11.28 |
지역전도를 위한 문화선교는 교회본질 분석, 교인분석, 지역성분석, 교회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통해 이루어간다 (0) | 2013.11.28 |
블로그, 클라우드, 로컬컴퓨터에 SNS(트위터, 페이스북등) 백업하기 (0) | 2013.11.27 |
구글완전정복2(실전편)을 출판을 앞두고 (0) | 201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