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유출(14)
-
개인정보유출 대처 및 예방법 - 컴퓨터의 쿠키삭제와 임시인터넷 파일들을 삭제하라.
개인정보유출 대처 및 예방법 - 컴퓨터의 쿠키삭제와 임시인터넷 파일들을 삭제하라. 개인정보유출 대처 및 예방으로 가장 손쉬운 방법인 쿠키삭제 및 임시인터넷 파일 삭제 방법이다. 인터넷 쿠키는 모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을 하고, 로그인을 하였을때 저장이 되는 사용자의 정보로 용량이 아주 작은 파일들로서 접속자의 아이디, 비밀번호, 아이피주소등 개인정보들이다. 쿠키를 삭제해야 하는 이유는 개인정보의 유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이다. 실제로 일부 악덕 홈페이지 운영자들은 자신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사용자 컴퓨터에 있는 개인정보가 담긴 쿠키를 가져와 악용한적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적어도 한달에 몇 번 정도는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된 쿠키을 지워야 한다. 쿠키을 지우면 누군가 내컴에..
2012.07.07 -
포털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유출현황 파악과 개인정보 삭제 프로세스
포털사이트에서의 개인정보 유출현황 파악과 개인정보 삭제 프로세스 1. 포털사이트에서 자신의 개인정보 유출현황 파악해야 한다. 구글, 네이버, 다음에서 자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는지 확인해 봅니다. 이름, 전화번호, 생년월일등과 같은 개인정보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키워드을 검색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원본 삭제의 원칙을 기억해야 한다. 자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홈페이지, 블로그, 소셜네트워크등에 있는 개인정보을 먼저 삭제 한 후 포털검색엔진에 연락하여 원복삭제된 경로와 키워드을 알려주어 삭제을 요청해야 합니다. 원본이 삭제되지 않으면 개인정보을 삭제할 수 없다. 3. 국내포털검색엔진의 경우에는 인덱스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본만 삭제되면 연락하여 삭제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2-3일정도이면 되지만 ..
2012.04.21 -
[개인정보유출 연재05] 웹사이트에서는 삭제되었는데 구글DB에만 노출되는 경우(개인정보 노출방지 가이드라인)
[개인정보유출 연재05] 웹사이트에서는 삭제되었는데 구글DB에만 노출되는 경우(개인정보 노출방지 가이드라인) 개인정보가 포함된 웹사이트나 블로그에서 관련 정보을 삭제하였으나 여전히 구글링을 통해 구글 검색엔진에 저장된 자신의 개인정보를 발견할 경우에 삭제하는 방법이다. 개인정보유출 연재 1-4까지의 모든 과정에서 제시한 방법대로 진행하시면 거의 99% 삭제가 된다. 그러나 단 1%가 삭제되지 않을 경우에만 해당한다. 구글 자동삭제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고 구글웹사이트 관리자에게 이메일을 통해 삭제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정상적으로 처리되면 6-8주정도가 소용된다. 첨부된 파일은 공공기관 홈페이지 개인정보 노출방지 가이드라인(2011년)으로 홈페이지등에 올린 개인정보 삭제방법 및 구글링으로 인해 개인정보가 유출..
2012.03.22 -
[개인정보유출 연재04] 구글 자동제외 시스템을 활용한 개인정보 삭제요청하기
[개인정보유출 연재04] 구글 자동제외 시스템을 활용한 개인정보 삭제요청하기 구글 자동제외 시스템에 접속하여 개인정보 노출된 웹페이지의 캐쉬을 삭제요청할 수 있다. 국내 포털사이트의 경우에는 메일이나 전화을 통해 삭제가능할 수 있지만 구글의 경우에는 반드시 메일과 적절한 방법(구글에서 제공하는 방법)대로 처리해야만 가능하다. 1. 구글 자동삭제 시스템에 접속한다. 로그인 상태에서 아래의 주소을 클릭하여 구글 자동 삭제시스템으로 들어간다. https://www.google.com/webmasters/tools/removals?hl=ko 2. 새로운 삭제 요청 작성하기를 클릭하면 삭제할 URL을 입력하세요라는 팝업창이 뜬다. 삭제할 페이지주소을 입력하고 계속을 클릭한다. 3. 초기화면에 구글 검색결과에서 시..
2012.03.22 -
[개인정보유출 연재 03] 홈페이지(블로그)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은 더 이상은 용납하지 않는다.
[개인정보유출 연재 03] 홈페이지(블로그)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은 더 이상은 용납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자신의 홈페이지, 카페, 블로그에 올린 글이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없으면 볼 수 없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것도 사실이지만 비공개 카페나 비공개 블로그의 글임에도 불구하고 구글링되어 검색되어진다. 사람으로는 불가능하지만 구글봇이나 검색로봇들은 불가능이란 없다. 홈페이지를 통한 개인정보 누출방지를 위해서는 홈페이지에서 노출된 개인정보를 구글 검색엔진이나 타 검색엔진이 수집할 수 없도록 점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검색엔진에 자신의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검색엔진 로봇은 방문한 해당 웹페이지에 개인정보가 발견되면 찾아서 주민등록번호중 뒤의 7가지를 *표시..
2012.03.22 -
[개인정보유출 연재 02]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유출확인은 이렇게 하세요.
[개인정보유출 연재 02]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유출확인은 이렇게 하세요. 자신도 모르는 사이 누군가가 나의 주민등록번호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및 대출사이트등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이런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차원에서 알아보는 일이 중요하다.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유출확인을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 주민등록번호 클린센터을 방문하여 확인할 수 있다. (http://clean.kisa.or.kr/mainList.do) 1. 주민번호 이용내역확인 바로가기를 클릭한다. 2. sci서울신용평가정보(주)와 한국신용정보주식회사중에서 하나를 클릭한다. 3. 이름과 주민번호를 넣고 나면 자신의 주민등록번호로 등록된 웹사이트 목록이 나온다. 4. 총 몇건 있으며, 각각 몇 건씩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엑셀(.xl..
2012.03.22 -
[개인정보유출 연재 01] 개인정보유출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들(개인정보 삭제 프로세스)
[개인정보유출 연재 01] 개인정보유출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들(개인정보 삭제 프로세스) 1. 자신의 개인정보 유출현황을 확인해 보아야 한다. 구글, 네이버, 다음등과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자신의 이름, 아이디, 이메일, 전화번호을 검색하여 본다. 물론 주민등록번호는 필수이다. 2. 유출된 정보을 삭제하는 방법 구글, 네이버, 다음등과 같은 포털사이트에 유출된 자신의 개인정보을 삭제하고자 한다면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있는 원본을 먼저 삭제해야 한다. 유출된 포털사이트 관리자에게 메일을 보내어 삭제요청을 해야한다. 국내는 메일보낸후 전화통화하여 처리사항을 확인할수 있지만 구글은 반드시 메일로만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1) 원본을 삭제하지 않으면 국내외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되므로 반드시 원본이 있는 사이..
2012.03.22 -
개인정보유출, 교회는 안전한가?(목회와신학 2008년 6월)
1. 발행인 : 두난노서원 2. 발행처 : 목회와신학 3. 발행년월 : 2008년 6월 4. 기고주제 : 개인정보유출, 교회는 안전한가? 5. 기고페이지 : p.212 - p. 217. 6. 주요내용 : - 성도 개인정보와 교회기밀문서의 유출 가능성 - 교회내 개인정보와 교회기밀문서 보호하라. -교회와 목회자들이 해야할일들 - 교회신뢰성문제로 연결되지 않도록 주의 필요하다.
2012.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