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8. 21. 10:57ㆍ구글강좌
인터넷 의존도가 높은 클라우드 시대. 포털사이트가 다운된다면?
스마트폰의 대중화, 모바일인터넷을 통한 웹접속이 보편화되면서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정보을 찾고 보관하는 일은 보편화되고 있다. 최근 영국 일간 데일메일에 의하면 약 5분동안 정전사고가 있어 구글의 검색과 지메일, 유튜브, 구글드라이브가 잠시 중단된 적이 있었다. 이에 전 세계의 인터넷 사용량의 40퍼센트가 급감했다는 발표가 있을 정도였다. 이처럼 인터넷망의 문제이든 구글의 문제이든 어찌되었든 구글을 사용하는 개인사용자든 기업사용자든 간에 구글의 의존도에 있어서 유저들이 어떻게 대비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조금씩 고민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대을 맞이 하고 있다. 물론 국내 포털사이트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구글 서비스가 5분동안 중단되자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에는 패닉에 빠진 사용자들의 메시지가 올라왔다. 트위터에는 “소름끼치는 5분” “구글이 5분간 다운등의 메시지 올라올 정도였다.
이처럼 국내포털사이트나 구글검색엔진이 다운된다면 어떻게 될까? 메일, 캘린더, 주소록, 할 일목록, 드라이버에 접속할 수 없다면 급하게 처리해야 할 문서을 처리할 수 없고 스케줄을 확인하거나 해야할일을 처리할 수 없다. 이로인해 삶과 일 모두가 마비가 될 수 있다.
이런 상황이 우리에게 일어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물론 개인사용자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곤 별로 없지만 최소한 이런 일들을 대비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살펴보는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1. 구글테이크 아웃으로 정기적으로 자료들을 백업해 둔다.
구글테이크 아웃으로 메일에서부터 유튜브에 이르기까지 업로드한 것들을 한꺼번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기능은 국내 어떤 포털사이트에서도 제공하지 않는 구글만의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활용하여 만약에 있을 문제에 대비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본다.
2. 메일과 일정은 오프라인으로 저장한다.
갑작스런 인터넷망의 문제나 구글의 문제시 오프라인 메일을 이용하면 수신된 메일을 확인후 답신을 작성하면 인터넷이 정상 작동할 때 자동으로 메일을 발송할 수 있다. 물론 일정도 마찬가지로 아웃룩등과 싱크하여 다운로드 받은 후 사용할 수 있다.
3. 클라우드(구글드라이브)에 있는 사내 문서와 개인문서들은 드롭박스, NAS등에 백업한다.
구글드라이브의 경우에는 내 컴퓨터와 구글드라이브서버와 동기화하여 백업해 둘 수 있지만 개인스토로지나 드롭박스, 서버와 싱크하여 모든 자료들을 백업해 둘 수 있다. 개인사용자라면 드롭박스을 이용하여 백업해 둘 수 있으며 기업사용자의 경우라면 개인용스토로지나 서버와 동기화하여 관리한다.
개인적으로 구글드라이브의 용량은 15기가이지만 드롭박스는 약 70기가정도가 되니까 구글드라이브에 있는 모든 자료들은 드롭박스에 백업할 수 있어 이중 백업효과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처럼 인터넷 의존도가 매우 높을 때 만약에 있을 시스템 다운(구글, 다음, 네이버등의 서버)이나 네트웍 다운(인터넷장애)으로 인해 있을 수 있는 문제을 최소한의 대안을 제시했다. 물론 부족한 점이 많지만 특별한 비용없이 개인사용자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글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메일 사용자들을 위한 가장 좋지않은 메일 비밀번호와 비밀번호 변경하는 방법 (0) | 2013.08.21 |
---|---|
국내에서 가장 많이 웹 엔진은 분명 네이버이다. 그러나 모바일에서는 역시 구글이다. (0) | 2013.08.21 |
RSS피드 제공하지 않는 홈페이지에서 피드만든 후 포털사이트에 등록하기 (0) | 2013.08.20 |
지메일 메인 화면에 여러 개의 편지함을 동시에 표시하기 (지메일 실험실기능) (0) | 2013.08.20 |
네이버 메일 주소록 가져와서 내보내기 (0) | 201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