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개된 간단한 신상정보로 개인 주민등록번호를 알아낼 수 있다면?

2014. 3. 7. 11:42구글강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개된 간단한 신상정보로 개인 주민등록번호를 알아낼 수 있다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09d80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0pixel, 세로 302pixel



카카오톡,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순으로 이용자수 급증, SNS을 통해 신상정보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것들을 조합하여 개인용 빅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공공기관 인터넷 홈페이지에 설치된 실명인증 시스템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개된 간단한 신상정보로 개인 주민등록번호를 알아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윤호 서울과학기술대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교수는 6일 페이스북 사용자 11만5615명을 대상으로 실명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주민등록번호 찾기 실험을 진행한 결과 생년월일과 출신 학교만으로 5만2000명의 주민등록번호를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고 채널A의 실험을 통해 밝혔다. 해당 연구팀은 먼저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개인 주민등록번호를 추론했는데 이 추론의 근거로 주민등록번호 13자리을 생년월일(앞 6자리 숫자) 성별(7번째), 출신지역(8∼11번째)과 출생신고 순번(12번째), 위조방지 검증번호(13번째)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추론된 주민등록번호 중에서 실제 번호를 찾아내는 데는 공공기관 사이트에 있는 실명인증 시스템을 이용했다는 것이다. 나아가 실명인증은 대부분 한국신용평가정보 같은 신용평가기관에 위탁하는데  사용자가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두 정보가 신용평가기관으로 전달되고 기관에서 두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알려준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안전행정부를 비롯한 중앙부처와 많은 지방자치단체 사이트가 별도 확인 절차 없이 주민번호의 진위를 바로 알려주는 허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개인정보유출에 대해 민감한 시기에 개인이 올린 개인정보을 조합하여 타켓 빅데이터를 만들면 그 위험성이 커질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개인정보유출을 당하지 않으려면 아래와 같은 절차를 통해 자신의 개인정보을 지켜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1. 전체공개를 친구공개로 한다.


페이스북을 이용하고 새로운 친구들과 관계을 맺기 위해 공개범위를 전체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개인정보유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친구공개, 친구의 친구 공개에만 제한해 두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할 링크 : http://inmaeg.tistory.com/112 )



2. 페이스북과 트위터의 개인정보유출현황


페이스북, 트위터에서 수집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연계하면 개인의 정보보호 침해을 넘어 더 큰 위험이 있을수 있게 되었다.(보이스피싱, 해킹)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 사이버보안연구단은『빅데이터 개인정보 분석 기술』을 개발, 페이스북 657만개, 트위터 277만개 등 한국인 SNS 이용자 계정 934만개를 대상, 개인정보 노출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으며, 이처럼 개인정보들을 상호연결하게 되면 일명 ‘신상털기’가 가능해지고 나아가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피싱 사기, 타켓광고, 마케팅 등에 악용될 소지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중에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노출된 이름이나 아이디을 상호 연결되는 경우가 최소 17만 개나 된다고  파악되었다고 한다. (출처 : http://decisive.egloos.com/577181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09d80414.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10pixel, 세로 908pixel



3. 글을 올리기전에 생각하고 올려라.


간혹 자신의 포스팅으로 인해 법적인 문제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들은 대부분 열을 받아서 포스팅한 경우가 많다. 글을 올리면서 이 글을 읽을 독자들이 문제을 삼을 요지가 있는지 먼저 생각하고 올려야 한다. 그리고 글을 올리면서 너무 개인적인 정보을 올리게 되면 나의 정보을 가지고 악용하게 될 경우 일어난 만약의 사태를 생각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본다. 만약 어떤 범죄자가 나의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을 지켜보면서 나의 행동패턴이나 생각, 개인 이야기, 가족이야기, 여행일정등을 주목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범죄자들이 여러분들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당신의 행동패턴을 만들어내면 이를 통해 범죄에도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자신이 올리는 정보중에 생일, 주소, 일정등을 너무 세부적으로 올리는 것을 삼가해야 할 것으로 본다.



4.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있는 개인정보을 삭제하거나 수정하라.


마케팅의 목적이 아니라면 불필요한 개인정보들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구글, 블로그에서 삭제하는 것이 지혜롭다.  자신의 개인정보가 어떻게 활용되고 이용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너무 지나친 개인정보들을 유출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고 보여진다. 지금 바로 자신의 트위터와 페이스북으로 들어가 자신이 공개해 놓은 개인정보의 범위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 http://facebook.com http://twitter.com )



5. 자신의 주민등록번호 유출확인하기


자신의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https://clean.kisa.or.kr 홈페이지를 통해 가능하다. 인터넷진흥원 웹사이트는 국가공인기관을 통해 실명확인서비스를 제공받아 2만여개의 웹사이트에서 실명확인, 성인인증등을 목적으로 사용된 주민등록 이용내역을 열람해주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의 주민등록번호가 어떤 목적으로 이용되었으며 내가 가입하지 않은 서비스라면 탈퇴해야 할 것이다.


자세한 내용확인하고 따라하기  : http://leedonghyun.com/18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d8042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3pixel, 세로 230pixel




자신이 올린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글들을 모우거나 자신이 공개한 정보들을 모운다면 크다란 가상의 나가 만들어진다. 이러한 정보위에 주민등록번호, 이메일, 전화번호만 추가하면 얼마든지 보이스피싱이나 광고서 스팸메일등의 타켓이 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므로 반드시 자신의 정보을 자기 스스로 관리하는 능력이 필요한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자신이 사용중인 블로그, 카페, 홈페이지, SNS에 노출된, 아니 공개한 자신의 정보을 다시금 확인하고 자신의 주민번호, 카드번호, 은행통장번호등을 확인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자신의 금융정보에서 개인정보까지 일일이 체크해 나가기를 바랍니다.



====================================================================


주민등록번호 생성 알고리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9d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7pixel, 세로 263pixel


1번째자리- 남녀 성별구분 (외국인 남녀도 별도 구분).

2번째부터 5번째의 4자리는 출생 신고를 한 지역의 고유 번호.

9 : 1800 ~ 1899년에 태어난 남성

0 : 1800 ~ 1899년에 태어난 여성

1 : 1900 ~ 1999년에 태어난 남성

2 : 1900 ~ 1999년에 태어난 여성

3 : 2000 ~ 2099년에 태어난 남성

4 : 2000 ~ 2099년에 태어난 여성

5 : 1900 ~ 1999년에 태어난 외국인 남성

6 : 1900 ~ 1999년에 태어난 외국인 여성

7 : 2000 ~ 2099년에 태어난 외국인 남성

8 : 2000 ~ 2099년에 태어난 외국인 여성

※ 따라서, 뒷자리 첫 번호가 5~8번으로 시작하면 주민등록번호가 아닌 외국인 등록번호이다.


2번째 숫자 - 출생신고를 한 특별시, 광역시, 도

3번째 숫자 - 시, 군 등

4번째 숫자 - 동, 읍/면 등

5번째 숫자 - 통/반, 리

6번째 숫자 – 같은 날 출생신고를 한 순서. 같은 동네에서 같은 날 두 명이 출생신고를 했다면 처음 등록한 아이는 1, 두 번째 아이는 2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6번째는 0이 없다.

7번째 숫자 - 주민등록번호 검정코드 계산법으로 나온 결과에 의해 정해지는 패리티 값이다. 패리티값을 구하는 방법은 100101-1110112 이 주민번호를 예로 들어 패리티를 구해보면, 주민등록번호 마지막 자리 수를 제외하고, 각각의 자리수마다 2~9까지수를 순서대로 곱하여 전체를 더한다.(100101-1110112 번호는 임의로 만든 것임)


234567 892345 알고리즘


(1*2)+(0*3)+(0*4)+(1*5)+(0*6)+(1*7) => 생년월일 10년 01월 01일 6자리

(1*8)+(1*9)+(1*2)+(0*3)+(1*4)+(1*5) => 식별번호 1110110 7자리이며 마지막 자리수는 제외함


(1*2)+(0*3)+(0*4)+(1*5)+(0*6)+(1*7)+(1*8)+(1*9)+(1*2)+(0*3)+(1*4)+(1*5) = 42


이 42을 11로 나누어 나머지만 취한다.


42 / 11 = 몫: 3 <-- 버림 , 나머지: 9


나누는 수 11에서 나머지 9을 빼면 2이란 수가 나오는데, 이 숫자가 마지막숫자(패리티)가 된다.



참고할 웹사이트 :


http://ko.wikipedia.org/wiki/%EC%A3%BC%EB%AF%BC%EB%93%B1%EB%A1%9D%EB%B2%88%ED%98%B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