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캘린더의 과거일정들을 스마트기기와 동기화하는 2가지 방법

2013. 10. 2. 09:27구글강좌

구글 캘린더의 과거일정들을 스마트기기와 동기화하는 2가지 방법



스마트폰, 태블릿PC로 구매하거나 초기화후에 구글계정으로 셋팅하면 메일과 주소록은 별 문제 없이 동기화된다. 그런데 일정에 있어서 구글캘린더(S플래너포함)의 과거일정중에 2-3개월분량의 일정만 단말기속으로 들어오고 과거의 일정이 들어오지 않아 고민하는 유저들이 많이 있다. 유저들이 쉽게 구글캘린더의 일정을 스마트폰과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3-10-02 08.35.40.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1280pixel


2011년 1월 일정을 스마트폰과 동기화하여 사용중인 화면




1. 스마트기기 단말기에서 한 번에 처리하는 방법(약간 복잡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13-10-02 08.36.26.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0pixel, 세로 1280pixel

스마트기기의 환경설정에 들어간후 더보기(단말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갤럭시노트의 경우에는 환경설정에서 더보기를 클릭한다)에 들어가서 비행모드을 실행한 후 와이파이는 ON을 한 후 폰 첫페이지로 돌아간후 메뉴를 다시 누른 후 설정에서 응용프로그램, 응용프로그램관리, 일정 및 일정저장을 선택한 후 내부에 저장된 일정 데이터을 삭제한다. 그리고 난후 날자 및 시간모드에서 자동을 OFF하고 날짜와 시간을 구글캘린더에 저장된 특정한 일정으로 맞추어서 변경한다. 예를들면 나의 경우에는 2010년 이전부터 사용하였지만 2011년 1월부터 동기화하기 위해 일정을 2011년 1월부터 맞춘 후 변경하였다. 그후 계정 및 동기화에서 백그라운드 데이터와 자동 동기화을 OFF한 후 게정 접속해서 동기화과정을 진행한다. 만약 데이터삭제가 되지 않는다면 계정삭제후 다시 시도해야 하며 계정삭제후 백그라운드 데이터 ON을 하고 시간을 과거의 특정시간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난 후 수동으로 동기화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제시하면서도 기기치들에게 많이 골치 아프게 느낄 수 있는 방법이고 변수도 있어 권장하기는 그렇지만 단말기에서 모두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천할 만하다.




2. 컴퓨터와 스마트기기에서 처리하는 방법(간단한 방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bf4be3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14pixel, 세로 686pixel




  컴퓨터에서 구글 캘린더로 접속한 후 일정을 내보내기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에 저장하고 싶은 과거의 자신의 일정을 내보내기 할 수 있다. 물론 업무일정도 마찬가지이다. 컴퓨터에서 구글캘린더에 접속한 후 일정을 내보내기 하면 압축된 파일로 내보내기 된다. 압축파일을 풀면 자신이 사용한 일정들이 나온다. 예를들면 개인일정, 업무일정, 동호회일정등이 있는데 그중에서 일부나 전체을 폰과 동기화할 수 있다.

  압축을 푼 일정을 메일이나 클라우드로 보내거나 usb케이블을 이용하여 일정을 스마트기기로 보낸 다음 폰에서 불러오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폰에 따라 불러오기가 없다면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일정앱이 실행되고 컴퓨터에서 다운받아 이동한 일정이 폰으로 들어간다. (갤럭시노트의 경우) 이로서 폰과 구글캘린더의 일정이 동일한 내용으로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