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8. 7. 21:25ㆍ강의안
목회자와 교회방송실 실무자들을 위한
교회음향 실무핸드북
이동현, 허재호 공저
서론
교회음향 현장실무핸드북이란 무엇인가?
왜 도서의 필요성, 방향성, 그리고 목적
1. 교회음향장비별 기초 사용법
교회 6가지 음향장비를 중심으로 교회음향을 설정하고 셋팅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1) 음향믹서란 무엇인가?
왜 음향믹서가 필요한가? 없어도 된다.
마이크를 동시에 많이 사용하고자 한다면 음향믹서가 꼭 필요하다.
입력을 16개만 사용해도 되면 16채널을 사용하고 입력이 48개가 필요하다면 48채널을 사용해야 한다.
음향믹서 선택 시 채널수에 따라 구축비용이 배가 되므로 교회에 필요한 마이크(입력)수에 의해 결정해야 한다.
1) 아날로그믹서
기존의 대부분의 교회들이 사용하는 믹서
브랜드 및 사진 포토리스트
장점 : 사용하기가 쉽다. 디지털믹서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단점 : 예배 장르가 변경 될 때 마다 새롭게 설정을 조정해 주어야 한다.
2) 디지털믹서
다양한 행사(연극, 뮤지컬, 대규모 공연)에 따른 대응이 쉽다
각 장르별로 필요한 셋팅를 저장할 수 있고 필요시 즉각적으로 불러올 수 있다.
네트웍을 통해 믹서를 원격조정할 수 있다.
3) 디지털믹서와 아날로그 믹서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나?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 재정의 여유가 있다면 디지털 믹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단. 단순한 예배, 선교지 현장, 문화적인 행사가 적은 교회는 아날로그 믹서가 운영에 유리하다.
(2) EQ
1) EQ 무엇인가?
원래의 의미 - 내가 듣고 싶은 스타일의 소리을 만들고자 할 경우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저음을 더 크게 듣고 싶은 경우, 고음이 너무 시끄러워 고음만 줄이고 싶을 때 사용한다.
그러나 교회현장에서는 EQ를 이용해 내가 듣고 싶은 소리을 만들면 큰 문제가 발생한다. 마이크를 사용하면 스피커로부터 갑자기 삐익하는 큰 소리가 발생한다. 이를 현상을 하울링이라고 한다. 하울링을 잡을 수 있는 방법중 하나가 EQ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2) EQ 종류
2가지 타입이 있는데 교회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비는 그래픽 EQ이다.
팁 : EQ 활용팁(마이크별로, 목적별, 좋은 EQ 사용해야 하는 이유)
EQ을 통해 하울링을 잘 잡는 법
EQ 인서트 사용하면 하울링 잡기는 좋지만 녹음음향 문제가 발생한다. (양호한 음질 보장이 힘들다)
(3) 마이크란
사람의 목소리나 교회 악기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음향믹서로 입력하는 역할을 한다.
교회에서 주로 마이크 많이 사용하는 마이크는 콘텐서마이크와 다이나믹마이크가 있다.
교회에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마이크는 다이나믹마이크이다. 다이나믹마이크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튼튼하고(내구성), 하울링이 적게 뜬다. 단점은 멀리있는 소리를 수음하지는 못한다. 이로인해 찬양팀이나 사회자마이크등에 주로 활용하고 있다.
콘텐서마이크는 강대상용이나 설교용으로 주로 활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소리 수음이 다이나믹에 비해 휠씬이 더 잘된다. 이로인해 조금만 잘못 셋팅하거나 외부조건이 변경되면 바로 하울링이 발생한다.
많은 교회들이 영상설교, 방송 설교시 다이나믹에 비해 콘덴스 마이크를 사용하는 이유는 설교자을 덜 가리기 때문에 주로 애용하고 있다.
1) 담임목사님 설교용 마이크
주로 콘텐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 선택시 필독사항 - 마이크감도 체크, 마이크지향성 체크(수음각도)
추천모델, 사진, 특성, 장단점 등
2) 성가대용 마이크
추천모델, 사진, 특성, 장단점 등
3) 찬양대용 마이크
추천모델, 사진, 특성, 장단점 등
4) 사회자용 마이크
추천모델, 사진, 특성, 장단점 등
(4) 앰프란
스피커를 움직이게 하는 장치이다.
대형 스피커를 움직이려면 큰 용량의 앰프가 필요하고 소형스피커를 움직이려면 적은 용량의 앰프을사용하는 것이 좋다. 무조건 앰프가 크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단. 앰프의 용량이 적고 스피커의 용량이 크면 앰프에서 연기가 나게 된다. 앰프가 파손되기 때문에 방송실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5) 이펙터
이펙터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교회에서 가장 사용하는 것은 리버브와 컴프레셔가 있다. 리버브는 찬양이나 설교시 잔향을 만드는 장비이다. 찬양시에 리버브을 사용하면 소리가 부드러워지고 듣기에 편안한 소리을 만들어준다. 리버브는 믹서에 연결한다. 리버브는 활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결선방식이 있다(사례)
컴프레셔는 교회에서 가장 어려운 장비중에 하나이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사용시 아무런 느낌이나 변화가 없다. 극한 상황에서 빛을 발한다. 평상시에는 별다른 느낌이 없다. 극한 상황이란 믹서가 받아들일 수 없는 큰 신호가 들어올때 믹서가 입력되는 압축시켜 전달함으로서 장비에 무리을 주지 않고 소리을 발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비이다.
주로 목사님 마이크, 드럼, 베이스기타 등등에 사용한다.
(6) 레코딩 장비
목사님의 설교나 찬양등을 녹음할 때 주로 사용한다.
2. 기기별 응급조치
(1) 소리나 나지 않을 때
1) 믹서
사용중인 마이크을 mute한 경우나 그룹을 mute한 경우
채널 게인을 오픈하지 않은 경우
2) 스피커
스피커와 라인 결선이 빠져있는 경우
하이드라이버가 고장난 경우
로우드라이버가 고장난 경우
네트워크가 고장난 경우
3) 라인
라인커넥터 접촉불량인 경우
라인간의 결선이 바꾸어진 경우
4) 마이크
마이크의 온오프 스위치을 확인하지 않은 경우
목사님의 마이크(콘덴서 마이크)인 경우 - 팬텀파워을 주지 않은 경우
마이크 라인의 결선문제
5) 전원입력문제
기기별 음향장비의 전원입력 상태 파악확인
메인 분전함 및 개별 분전함 전원 투입 여부확인
(2) 교회음향실무 팁
1) 찬양의 음향(소리) 빵빵해서면 좋겠다.
2) 드림 마이킹을 잘하려면
3) 무선마이크 노하우
4) 모니터스피커가 잘들어려고 하려면
5) 베이스기타가 잘들리려면
6) 클래식악기(피아노) 잘들리려면
7) 목사님의 마이크소리를 좋게 하려면
8) 연극이나 뮤지털 마이크활용법
9) 성가대 녹음을 잘 하려면
10) 부흥강사가 너무소리를 크게 지를때
11) 납땜하는 법
12) 장비별 결선방법
믹서 - EQ
EQ - 엠프
마이크 - 믹서
엠프 - 스피커
EQ - 이펙터
13) 계절별 특성
14) 주일예배, 새벽예배시 음향 주의사항
15) 교회음향은 스테레오일까 아니면 모노일까
16) 교회음향에 사각지대가 있다든데 어디에서 발생하나요
17) 무선마이크을 통해 설교시 주의해야 할 것은 밧데리량을 확인해야 한다.
18) 리버브을 잘 사용하는 방법
19) 마이크의 선택 - 온오프 스위치마이크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스위치가 없는 마이크을 사용할 것인지.
20) 입력 게인과 출력 페이더 어떤 것을 사용해 원하는 볼륨을 확보해야 하는가?
21) 마이크라인과 스피커라인 결선 및 납땜방법
'강의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전도법강의안(실기편) (2) | 2012.09.17 |
---|---|
스마트전도법 강의안(이론편) (2) | 2012.09.17 |
갤럭시탭사용자들을 위한 실무강의안 (1) | 2012.07.26 |
구글플러스 강의안 (2) | 2012.07.21 |
[강의안] 어떤 블로그에 나의 포토폴리오을 만들것인가? (3) | 2012.07.10 |